(Goldstein, 2001, Object Relations Theory and Self Psychology in Social Work Practice, p. 34)
Fairbairn은 또한 유아가 실제에서 자신의 나쁜 경험으로부터 탈출할 수 없을 때 유아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실제적인 대상들이 속한 외부 세상으로부터 심리적으로 자신을 철회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될 때 고립되어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유아는 외부의 나쁜 대상들을 기초로 나쁜 내적 대상 세계(a World of internal bad objects)를 건설하여 타인들로부터의 고립을 보상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유아는 스스로 자유를 얻고 타인의 통제와의 연결감을 유지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아와 내적 대상들은 분리되고 억제되며 자기 자신의 삶을 좌우하는 (정신내적; endopsychic)폐쇄체계를 구성한다. 유아는 혼자가 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하여 나쁜 내적 대상들과의 관계를 포기할 수 없으며 유아적인 의존으로부터 성숙한 독립으로 나아갈 수 없고 타인들과의 사랑하고 만족을 경험하는 유대관계를 형성할 수 없게 된다. 대신 유아는 반복적으로 내적 나쁜 대상들의 세계를 반영하는 관계를 갖게 된다.
Fairbairn은 치료는 클라이언트가 타인과의 만족스럽고 사랑스러운 관계를 가질 수 있는 능력을 회복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고 했지만,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내적 나쁜 대상들의 존재와 그 영향력을 의식할 수 있도록 해석을 사용하여 그 영향력에서 벗어나게 하고 분리를 감소시켜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헤이븐정신건강상담소·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헤이븐카드메시지24 (39) | 2024.02.25 |
---|---|
하정미칼럼22-창원심리상담 헤이븐 상담소 (51) | 2023.12.01 |
헤이븐카드메시지21 - 나와 타인을 소중하게 대하기 (0) | 2023.06.13 |
하정미 칼럼21- 무가치감 (2) | 2023.03.26 |
헤이븐카드메시지20- 적절한 경계형성하기 (4)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