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미- 헤이븐정신건강상담소&연구소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샌디에고주립대학교 사회사업석사

우는 자들과 함께 울라(로마서12:15)

실천론 27

2017년 개정판 NASW(미국사회복지사협회) 윤리강령 6 - 전문가로써의 윤리

4. SOCIAL WORKERS’ ETHICAL RESPONSIBILITIES AS PROFESSIONALS 사회복지사의 전문가로서 윤리적인 책임 하세진 번역, 이유민 검토, 하정미 지도 4.01 Competence 4.01 역량 (a) Social workers should accept responsibility or employment only on the basis of existing competence or the intention to acquire the necessary competence. (a) 사회복지사는 기존의 역량이나 필요한 역량을 습득하려는 의도에 근거하여 책임이나 고용을 받아들여야 한다. (b) Social workers should strive to become and rem..

실천론 2020.06.30

2017년 개정판 NASW(미국사회복지사협회) 윤리강령 5 - 실천의 장에서의 윤리

3. SOCIAL WORKERS’ ETHICAL RESPONSIBILITIES IN PRACTICE SETTINGS 실천의 장에서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책임 하세진 번역, 이유민 검토, 하정미 지도 3.01 Supervision and Consultation 3.01 슈퍼비전과 조언 (a) Social workers who provide supervision or consultation (whether in-person or remotely) should have the necessary knowledge and skill to supervise or consult appropriately and should do so only within their areas of knowledge and compete..

실천론 2020.06.30

2017년 개정판 NASW(미국사회복지사협회) 윤리강령 4 - 동료에 대한 윤리

2. SOCIAL WORKERS’ ETHICAL RESPONSIBILITIES TO COLLEAGUES 사회복지사의 동료에 대한 윤리적 책임 하세진 번역, 이유민 검토, 하정미 지도 2.01 Respect 2.01 존중 (a) Social workers should treat colleagues with respect and should represent accurately and fairly the qualifications, views, and obligations of colleagues. (a) 사회복지사는 존중으로 동료를 대해야 하고 동료의 자질, 견해, 그리고 의무를 정확하고 공정하게 나타내야 한다. (b) Social workers should avoid unwarranted negative..

실천론 2020.06.30

전문적 상담기술: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의사소통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

하정미- 헤이븐정신건강사회복지연구소 대표 인용- Hepworth, D. H., Rooney, R. H., Rooney, G. D., and Strom-Gottfried, K., 2017, Dirent Social Work Practice: Theory and Skills, Tenth Edition, pp. 172-185. *다음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의사소통에 대한 설명은 전문적 상담기술을 익히고자 하는 학습자들을 위하여 위에 인용한 사회복지실천교재의 내용에 필요한 경우 본 글쓴이의 설명을 더하여 기술한 것이다. 사회복지사가 전문적인 상담을 실시할 때 사용하는 언어적 의사소통방식에 있어서 다음 사항들에 특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1. 재보증, 동감, 위로 또는 변명해주기(Reassuring, sympat..

실천론 2020.06.26

2017년 개정판 NASW(미국사회복지사협회) 윤리강령 3-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윤리

1. SOCIAL WORKERS’ ETHICAL RESPONSIBILITIES TO CLIENTS클라이언트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책임 하세진 번역, 이유민 검토, 하정미 지도 1.01 Commitment to Clients 1.01 클라이언트에 대한 헌신 Social workers’ primary responsibility is to promote the well-being of clients. 사회복지사의 주요한 책임은 클라이언트의 안녕(행복)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In general, clients’ interests are primary.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의 이득을 최우선으로 한다. However, social workers’ responsibility to the larger societ..

실천론 2020.06.19

2017년 개정판 NASW(미국사회복지사협회) 윤리강령 2 - Ethical Principles 윤리적 원칙

Ethical Principles 윤리적 원칙 하세진 번역, 이유민 검토, 하정미 지도 The following broad ethical principles are based on social work’s core values of service, social justice, dignity and worth of the person, importance of human relationships, integrity, and competence. 다음의 광범위한 윤리적 원칙들은 서비스의 사회사업의 핵심 가치, 사회 정의, 존엄성과 한 사람의 가치, 인간관계의 중요성, 성실성, 그리고 역량에 기초한다. These principles set forth ideals to which all social worker..

실천론 2020.06.19

2017년 개정판 NASW(미국사회복지사협회) 윤리강령 1 - 개요와 서문

Code of Ethics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미국사회복지사협회 윤리강령(2017년 개정판 영한대역) 하세진 번역, 이유민 검토, 하정미 지도 OVERVIEW 개요 The NASW Code of Ethics is intended to serve as a guide to the everyday professional conduct of social workers. NASW 윤리강령은 사회복지사의 일상의 전문직인 행위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Code includes four sections. 이 강령은 4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The first section, “Preamble,” summarizes the soc..

실천론 2020.06.19

사회복지사의 부적절한(클라이언트에게 잘 조율되지 못한) 반응과 그 대처

< 사회복지사의 조율되지 않은 반응(무단 복재금지)> 출처: 아래의 글은 Eda G. Goldstein, 2001, Object Relations Theory and Self Psychology in Social Work Practice, New York, NY: The Free Press. 을 바탕으로 하정미(2019)가 우리나라의 문화와 환경에 보다 적절하게 수정하고 삭제 및 첨가하며 번역함. 다음 사례는..

실천론 2019.06.04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5. 사회복지실천의 다양화기 (무단복제금지)

5. 사회복지실천의 다양화기(1970년 전후-현재) 하정미 저 미국에서 1970년 중반부터 80년대는 복지예산의 비대화를 지양하는 보수정권의 영향으로 인하여 양적 또는 공적 영역의 사회복지의 성장이 멈추거나 일부 후퇴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실천의 질적이며 사적인 영역에서는 많은 변화가 있어 대표적으로 다문화와 젠더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였고 개업 사회복지사들의 수가 증가하였다. 1990년대에는 사회서비스의 질을 확보하기 위한 사회복지사자격증제도가 확립되었고, 많은 주에서 독립된 사회복지실천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자격증 제도가 사적 영역에서의 사회복지실천을 촉진하였다. 한편, 이 시기에는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연구와 질적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사회복지실천모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여..

실천론 2018.10.03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4.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의 발전 (무단복제금지)

4.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의 발전: 사회복지실천의 통합기(1950년 전후- 1970년 전후) 하정미 저 이 시기에는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 통합방법론이 구체화되며 정착된 사회복지실천의 통합기라고 볼 수 있으며 미시적 개입과 거시적 개입이 모두 양적⦁질적으로 크게 발전하였다. 특히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50년을 전후하여 많은 사회복지전문가들은 심화된 전문가주의에 대한 우려로 그들이 한 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다는 사실에 공감하였으며 시카고대학을 시초로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을 위한 일반주의 사회사업실천 움직임이 일어났고 체계이론이 도입되었으며 이론적으로 다원화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의 영향으로 밀포드 회의로부터 거의 25년이 지난 1951년에는 미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the Nati..

실천론 2018.10.03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3. 대공황 이후의 급격한 성장 (무단복제금지)

3. 대공황 이후의 급격한 성장: 실천방법론의 분화 및 확립기(1920년 전후- 1950년 전후)하정미 저 1920년 전후에는 병원, 학교, 법원 등 여러 영역에서 사회복지사들이 고용되었고 사회복지실천의 3대 방법론으로 불리는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으로 실천방법에 있어서의 분화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분화로 인한 사회복지전문직의 주체성 상실을 우려한 사회복지사들은 1923에서 1929년 사이에 진행된 밀포드 회의(Milford Conference)에서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개별사회사업의 중요성에 합의하고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지식 및 방법론에 대한 공통요소(commonalities)를 정리하여 발표하였다. 또한 개별사회사업의 사회에 대한 가장 중요한 기여점이 부모의 방임, 문..

실천론 2018.10.03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2. 미국에서 전문직으로 발전 (무단복제 금지)

2. 미국에서 전문직으로 발전: 전문직 확립기(1900-1920년 전후)하정미 저 북미에서는 영국의 빈민법의 영향을 받아 빈곤한 사람들과 아동 그리고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사회복지실천가들의 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했다. 영국에서 시작된 사회복지실천은 미국의 개인주의적이며 실용주의적인 문화와 만나 전문직으로 발전되었다. 이러한 전문성 또는 전문가주의(professionalism)의 시작은 미국 시민전쟁 후 자발적인 자선조직들의 협회들이 결성된 것에서 출발한다. 자선조직협회의 우애방문원들(Friendly visitors)이 유급직으로 대체되었고 전문성의 발달을 위해 그들의 강조점은 가치에서 지식과 기술로 전환되었다. 사회복지실천의 어머니라고 불리는 메리 리치몬드(Mary Richmond)가 1917년..

실천론 2018.10.03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1. 영국에서 시작된 사회복지 (무단복제금지)

서구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하정미 저 서구의 사회복지실천은 영국에서 태동되어 1900-1920년대 전후 미국에서 전문직으로 확립되었으며 세계적으로 대공황의 영향으로 많은 사람들이 실업과 빈곤에 허덕이던 1920년대 전후에서 1950년대 전후에 실천방법론이 분화되고 확립되면서 크게 발전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복지사들은 사회복지실천의 지나친 분화로 인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활발한 통합의 움직임을 보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회복지실천의 다양화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1. 영국에서 시작된 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의 태동기 이 시기 영국에서는 가난과 질병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도와야 한다는 생각이 주류 종교인 기독교를 중심으로 강조되었다. 봉건주의에서 자본주의로 사회경제 시스템에 큰 변화를 겪었던 ..

실천론 2018.10.03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무단 복제 금지)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하정미 저 우리나라는 앞서 살펴본 서구 특히 영국이나 미국과는 다른 문화와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특히 자유주의와 개인주의 그리고 기독교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의 전문화가 가속된 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유교적이며 권위주의적 전통과 가족주의 및 공동체주의 문화를 이어왔으며 강한 민족적 정체성을 갖고 있다. 이와 더불어 외국의 수많은 침략과 간섭, 식민지 지배, 기독교의 전래와 전국을 잿더미로 만들었던 한국전쟁과 남북 분단뿐만 아니라 권위주의적 군사독재정권의 지배와 급속한 경제성장에 수반된 가치관의 혼란을 경험하였다. 따라서 척박한 환경 속에서의 갈등과 살아남기 위한 적응, 그리고 통합과정이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배경이 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사회문화적 환경을 고..

실천론 2018.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