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미- 헤이븐정신건강상담소&연구소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샌디에고주립대학교 사회사업석사

우는 자들과 함께 울라(로마서12:15)

정신건강사회복지 32

정서장애를 이해하기에 도움이 되는 영화들

http://mentalhome.joins.com/media/YS_Act_11.asp의 정보에 저자의 정보를 함께 정리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케빈에 대하여"  엘렉트라 콤플랙스- "백설공주", "장화홍련"  낮은 자존감- "미운 오리 새끼", "개구리왕자" "슈렉"  자아정체감의 혼란- "쿵푸팬더1, 2, 3", "인어공주" 시험당하는 청소년기 - "말죽거리 잔혹사" 피터팬 증후군(푸에르 에터너스 콤플렉스)- "팬" 자녀훈육- 찰리와 초콜릿공장 대상관계에서 문제로 인한 인한 정서장애- 신비한 동물사전,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 정신 및 감정에 대한 이해- 인사이드 아웃 우울증' - "인어공주" 자살충동 - "죽은 시인의 사회"   우월감과 과대망상에 사로잡혀 살다간 - "역도산" 정상적 자아..

사례연구-좌절된 자기대상 욕구- 무단복제 금지

좌절된 자기대상 욕구Eda G. Goldstein, 2001, 하정미 역, 2019, Object Relations Theory and Self Psychology in Social Work Practice, New York, NY: The Free Press. 다음의 예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자기대상욕구가 직장에서 어떻게 좌절되었으며 이것이 스트레스를 증가시켰고 이러한 욕구가 치료 상황에서 어떻게 드러나는 지가 나타난다. Morris씨 사례42세인 Morris씨는 그의 두통과 고혈압을 염려하였으며 그가 광고회사에서 일하는 예술 감독으로 자신의 직무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을 알게 된 그의 의사의 권유로 도움을 받기 위해서 찾아왔다. Morris씨는 최근 15명으로 구성된 복잡한 부서를 관리하도록 ..

사례연구- 거짓 자기 구조(a false self organization)- 무단복제 금지

거짓 자기 구조(a false self organization) Eda G. Goldstein, 2001, 하정미 역, 2019, Object Relations Theory and Self Psychology in Social Work Practice, New York, NY: The Free Press. 다음 사례에서 사회복지사는 타인의 기대와 소망에 순응하려는 경향으로 인하여 거짓 자기 구조를 형성하는 클라이언트를 다루고 있었다는 것을 점차 깨닫게 된다. 이러한 상황의 정도는 다양하겠지만 종종 클라이언트들은 자신이 얼마나 많이 자기의 참된 자기를 소외시키고 자기 자신의 욕구를 잠재워버리고 있는지를 항상 인식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직접적으로 사회복지사에게 이야기 할 수 없을 것이다. S..

가족사정과 치료계획: slipp의 대상관계적 가족치료(무단복제금지)

가족 사정과 치료계획: 요약Slipp, Samuel. 1993. 하정미 역. 2018. Object Relations: a Dynamic Bridge Between Individual and Family Treatment. Northvale, New Jersey: Jason Aronson Inc. p. 204-205. (1) 제시문제(presenting problem): 클라이언트의 제시문제와 그 배경에 대한 탐구 a. 그것이 전체적인 가족 기능과 관련이 있는 지 가족 발달단계에 따른 스트레스인지를 확인한다. b.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무엇을 했었는지 확인한다. (2) 개별 진단(individual diagnosis): 분화의 수준과 원시적이거나 성숙한 방어기제의 사용에 대한 판단을 포함하..

조적 방어(Manic Defense)에 대해서(번역)

Manic Defence Burton(2017) 하정미 역 조적방어(manic defense)는 불편한 생각이나 감정을 접했을 때 의식적으로 반대되는 생각이나 감정 또는 급하고 허둥대는 행동으로 마음을 다른 곳으로 돌리려는 경향이다. 일반적인 예로는 자신의 모든 시간을 이 일 저 일로 서둘며 허둥대고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는 사람의 경우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휴식 시간에 조차 면밀히 모든 것을 계획해서 그대로 수행해야 한다. ... 만일 다른 사람이 어떻게 그렇게 하느냐고 물으면 그는 어색한 웃음과 로봇과 같은 반응으로 “괜찮아요. 감사해요, 물론 너무 바빠요.”라고 답할 것이다. 많은 경우에 그는 전혀 괜찮지 않으며 혼란스럽고 지치고 기본적으로 불행하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너무 많은 사회활동을 하..

우울증 클라이언트의 발달적 고착과 가족역동(무단복제금지)

우울증 클라이언트의 발달적 고착과 가족역동(무단복재금지)하정미 역Slipp, Samuel. 1993. Object Relations: a Dynamic Bridge Between Individual and Family Treatment. Northvale, New Jersey: Jason Aronson Inc. p. 128-129. 정신내적 수준에서 클라이언트의 고착점은 분리-개별화 발달단계의 해결에 놓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고착의 원인이 단순히 유아기의 사랑하는 대상의 상실만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부모는 유아기뿐 아니라 뒤 이은 발달 단계에서도 자신들의 욕구로 인하여 클라이언트를 개별적인 인간으로 생각하지 못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는 부모가 자신들의 자존감을 위해 아동에게 거부하겠다는 ..

일탈과 우울적 가족양상을 동반하는 조현병에서의 유도된 역전이 (무단 복제금지)

일탈과 우울적 가족양상을 동반하는 조현병에서의 유도된 역전이(일탈 클라이언트와 가족 사례연구) Slipp, 1993, "Object Relations : A Dynamic Bridge Between Inividual and Family Treatment." p. 107-112 하정미 역 한 청소년이 긴장증(catatonic: 조현병의 한 가지 형태)을 앓고 있으면서 심각한 자살 시도를 한 후 가족치료에 참여하였다. 첫 면담에서 그는 전반적으로 망상적이 어고 자신의 어머니가 방의 모든 곳에서 나타난다고 하였다. 그 클라이언트는 형제자매 중 막내였으며 다른 형과 누나들 보다 지적인 재능이 부족하였다. 클라이언트는 심리적으로 무너지기 전에 걷잡을 수 없고(stormy) 일탈적인(pseudodelinquent)..

Slipp의 대상관계이론에서 부모의 내적체계에서의 자기와 대상의 이미지 분리와 아동이 수행하는 가족역할(무단복재금지)

Slipp의 대상관계이론(1993; 99-103)에서 부모의 내적체계에서의 자기와 대상의 이미지 분리와 아동이 수행하는 가족역할 하정미 역 유아기 발달에 대한 클레인의 연구는 발달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지 않으면 이후에 정신질환의 원형을 형성하는 정상적 편집적 위치/태도와 우울적 위치/태도..

발달적 고착과 가족역동

발달적 고착과 가족역동(무단복제금지) 하정미 역 Slipp, Samuel. 1993. Object Relations: a Dynamic Bridge Between Individual and Family Treatment. Northvale, New Jersey: Jason Aronson Inc. p. 86-87. (1) Winnicott(1965)의 발달적 고착에 대한 설명 대상관계 이론가인 Winnicott은 공생적 수준에서 발달적 지체는 어머니의 반응성과 어머니와 자녀 간에 공격성이 대인 관계적으로 다루어지는 방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유아의 욕구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성이 “충분히 좋을” 때 그 유아는 어머니에 대한 전능적 통제에 대한 환상을 유지한다. 만일 충분한 신뢰와 안전이 개발되..

직접적 가족치료 이론과 기술(구조적 가족치료와 전략적 가족치료, 임의복제금지)

직접적 가족치료 이론과 기술(구조적 가족치료와 전략적 가족치료)하정미 역원저: Slipp, Samuel. 1993. Object Relations: a Dynamic Bridge Between Individual and Family Treatment. Northvale, New Jersey: Jason Aronson Inc. p. 81-83. (1) 구조적 가족치료와 전략적 가족치료의 비교 직접적 가족치료자들은 통일된 접근법을 제시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이론과 치료적 목표에 대한 의견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구조적 치료자들은 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을 통하여 기능을 변화시키려고 하지만 반면 전략적 치료자들은 문제에 대한 오류적 해법(erroneous solution)으로부터 발전되는 실제적인 기능에 직접적으..

가족치료의 역사적 발달 (무단복제금지)

가족치료의 역사적 발달 하정미 번역 Slipp, Samuel. 1993. Object Relations: a Dynamic Bridge Between Individual and Family Treatment. Northvale, New Jersey: Jason Aronson Inc. p. 77-79 (1) 가족치료의 발달 가족치료는 미국이 강한 반체제 정서에 영향을 받고 있었던 시기인 1960년대의 산물이다. 이 시기는 매카시 애국주의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미국의 베트남 전쟁참전에 이르는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발생한 정부의 권위에 대한 환멸의 시기였다. 많은 측면에서 이러한 반체제주의적 태도는 정부의 권위에 대한 불신과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에 대한 불신의 철학과 더불어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실존..

원시적 방어기제와 가족 삼각관계(family triangulation) 그리고 이에 대한 개입 (무단복제 금지)

원시적 방어기제와 가족 삼각관계(family triangulation) 그리고 대상관계치료적 개입하정미 번역Slipp, Samuel. 1993. Object Relations: a Dynamic Bridge Between Individual and Family Treatment. Northvale, New Jersey: Jason Aronson Inc. p. 70-71 1. 원시적 방어기제와 가족 삼각관계(family triangulation) (1) 분리와 투사적동일시로 인한 가족 내의 삼각화 내면화된 자기 혹은 대상을 전적으로 선하거나 나쁜 것으로 분리하는 방어 때문에 제 3의 가족 구성원이 그러한 상호작용의 삼각화로 얽히게 되기 쉽다. 따라서 가족에서 자녀가 태어나게 되면 그 아이들은 대상 역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