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기법
①
합류를 위한 기법(joining with the transaction) |
유지(maintenace), 추적(tracking), 모방(mimesis) |
가족과 치료자가 서로 협력하면서 치료를 계속하기 위해 합류는 중요한 요소.
라포와 비슷하나 이는 치료적 관계의 상태를 의미한다면, 합류는 치료자의 행동을 표현하는 용어.
합류에서는 치료자의 자연스러우면서도 배려 깊은 공감적 이해가 중요.
②
이해를 위한 기법(creation of transaction) |
실연화(enactment) |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가족의 교류유형은 역기능적이다.
치료자에게는‘가족이 가진 기대의 차이에서 어떤 방법으로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끌어내고, 그것을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가’라는 점이 중요.
치료 장면에서 가족원이 자발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기법을 교류의 창조라 함
③
변화를 위한 기법(creation of transaction) |
재정의, 긴장고조, 증상활용, 과제부여 |
가족의 교류유형을 변화시켜 IP가 문제를 나타내지 않도록 하는 바람직한 가족구조를 만들어내는 것.
①
합류를 위한 기법(joining with the transaction) |
유지(maintenace), 추적(tracking), 모방(mimesis) |
A) 유지(maintenance)
치료자가 가족구조를 지각하고 분석할 때 가족구조를 의도적으로 지지해주는 방법.
즉, 내담자 가족과 합류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을 가족교류에 맞추는 것.
이는 치료자가 가족이 갖고 있는 기존의 구조를 유지하도록 존중해 주는 것.
예) 주도적인 아버지에게, “제가 아들에게 뭘 좀 물어봐도 좋을까요?”
B) 추적(tracking)
치료자가 기존에 가족이 가진 체계에 순응하는 것.
즉, 치료자는 가족이 지금까지 해 온 의사소통이나 행동을 존중하여 가족의 기존 교류의 흐름에 거슬리지 않고 뒤 따라 가는 것.
치료자의 지지적 언급, 내용을 명료화하기 위한 질문, 가족이 말한 것을 반복하기, 흥미를 가지고 열심히 듣는 태도 등.
예) ‘음’, ‘네.....’, ‘아, 그렇군요.’로 가족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계속하도록 격려. 내담자의 말을 반복해 주는 것.
C) 흉내(mimesis)
치료자가 가족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을 사용하여 합류를 촉진하는 것
즉, 치료자는 가족의 행동유형, 속도, 감정을 판토마임 하는 것처럼 모방. 흉내대상은 언어사용, 동작, 감정표현, 비유적 표현 등
예) 느릿느릿 반응하는 가족원에게 치료자 자신도 속도를 늦춰서 반응하거나, 가족의 경험과 동일한 자신의 경험을 강조하여 말하기 등
③
이해를 위한 기법(creation of transaction) |
실연화(enactment) |
D) 실연화(enactment)
치료자가 면담 중 가족에게 역기능적 가족교류를 실제로 재현시키는 것.
직접적이어서 가족구조를 이해하는데 효과적이다.
치료자는 문제의 정의, 인식? 재연지시? 관찰? 재연을 수정하여 지도
지시는 “그것에 대해 아버지와 이야기해 봐요.”와 같이 명확히 해야 한다.
가족원이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실연화를 통해 실제로 문제를 경험하면서
가족이 서로 관여하기 때문에 오히려 구조개선의 움직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음.
(1) 실연기법의 치료적 효과
- 치료자와 가족간 치료동맹 촉진
- 치료자와 내담자의 가족들이 치료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이다.
- 역기능적 가족 상호작용을 분명하게 봄으로써, 가족문제는 한 개인이 아니라 전체 체계의 역기능에 있음을 인식
- 가족들이 새로운 상호작용과 구조를 실험할 수 있음
(2) 실연기법의 단계
- 치료자가 가족성원의 교류를 관찰함으로써 어떤 역기능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출 것인가를 결정
- 치료자가 가설로 세운 역기능적인 교류를 중심으로 가족원이 실연화하여 역기능적 교류를 둘러싼 상호작용을 분명히 밝힘
- 치료자가 주목한 부분에 대하여 지금까지 가족이 사용한 방법과는 다른 교류를 실연화 시킴으로 재구조화와 연결시키는 방법으로 적용된다.
(3) 실연기법 연습하기
- 다섯 사람이 한 조가 된다. 그 가운데 한 명은 내담자가 되고, 다른 한 명은 치료자가 되며, 나머지는 가족원이 되어 역할을 실연하는 연기자가 된다.
- 내담자는 조원에게 최근 겪었던 가족문제를 설명한다.
- 내담자는 나머지 조원에게 적절히 자기 가족원의 역할을 맡아 실연해 줄 것을 부탁한다.
- 이렇게 구성된 가족원에게 치료자는 최근 가족이 문제를 겪었던 상황을 실연해 줄 것을 요청한 후 그들의 상호작용을 관찰한다.
- 실연을 관찰한 치료자는 가족의 상호작용 구조를 평가하고, 내담자와 나머지 조원은 치료자의 평가에 대해 피드백 한다. 이해와 불편함 등
③
변화를 위한 기법(creation of transaction) |
재정의, 긴장고조, 증상활용, 과제부여 |
E) 재정의(reframing)
- 증상을 바라보는 가족의 시각을 바꿔서 교류유형을 변화시키려는 기법.
- 내담자 가족은 문제를 부정적 관점에서 보기 때문에, 잘못된 행동 이면의 좋은 동기를 부각시켜 가족이 건설적인 시각을 갖도록 도와준다.
예) 공부하라는 어머니의 잔소리 ? 자녀에 대한 관심 표현.
F) 긴장고조(intensity)
- 치료자가 가족체계의 여러 부분에서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긴장고조 기법 사용
가장 간단한 전략은 치료자가 가족의 평소 의사소통 방식을 방해하는 것
예) 아내가 남편의 의견을 대변하는 역할을 할 때, ‘부인, 잠깐만요. 저는 남편분의 의견을 직접 듣고 싶어요’라고 하는 것
- 또 다른 방법은 가족에 내재된 갈등을 표면화함으로써 가족체계 긴장시킴
예) 자녀의 역기능적 행동이나 증상은 부부싸움 이후에 특히 심해진다는 사실을 부각하기 위해, 치료자는 한번은 아버지, 다음 어머니, 다음 자녀의 편에서
각자의 의견이나 불만을 표현하도록 하게 함. 새로운 관계패턴을 만들려는 시도를 하게 함
[정리하기]
1. 가족적 가족치료모델에서는
a. 내담자 가족과의 합류,
b. 가족구조의 확인,
c. 가족의 재구조화 순으로 상담이 진행된다.
2. 구조적 가족치료에서는
a. 합류를 위한 기법,
b. 이해를 위한 기법,
c. 변화를 위한 기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치료자가 면담 중에 가족에게 역기능적 가족성원간 교류를 실제로 재현시켜 봄으로써, 직접적으로 가족구조를 효과적으로 이해라는 방법으로 실연화(enactment)라 한다.
4. 증상을 바라보는 가족의 시각을 바꿔서 가족원간 교류유형을 변화시키는 것을 재정의(reframing)이라 한다.
출처: http://blog.naver.com/soudal/220761053732
추가로 다음 싸이트의 교류분석에 대한 기본적 이해에 관한 설명을 참조... http://blog.naver.com/sjy9876s/220460484843
'정신건강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주 강의 파워포인트 자료 (0) | 2018.08.28 |
---|---|
2018 정신보건사회복지론 강의계획서 - 주별강의계획 수정 (0) | 2018.08.11 |
50단어 정리- Newmann's psychic process (0) | 2016.11.03 |
중요단어 정리 50 - fear over hope (0) | 2016.10.06 |
3주차 수업자료 (0) | 2016.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