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목명 | (한글)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영문) social welfare in Mental Health | 담당교수 | 하정미 | ||
수강대상 | 면담시간 | ||||
연락처 | |||||
1. 강의목표 사회사업가로서 정신보건실천의 현장에서 실제로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이해하고 원조하는 기술을 공부하고 조별 실습과 토론을 통해서 실제 원조기술을 익힌다. | |||||
2. 수업진행방법 강의와 토론 그리고 역할극 그리고 발표로 이루어진다. | |||||
3. 학습평가방법 출석 10%, 중간고사 20%, 기말고사 30%, 과제물 20%, 발표 20% 중간고사: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에 대한 주관식 질문 6개 중 4개를 선택하여 서술한다. 기말고사: 제시된 정신건강 관련 주제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논술한다. (open book test: 서적, 인터넷자료 논문검색 등을 통하여 자유롭게 자료를 참고하여 논문 작성방법에 따라 자신의 견해를 논술한다.) | |||||
4. 교재 및 참고도서 교재 - 정신건강사회복지론, 권진숙, 김정진, 전석균, 성준모, 공동체, 2017. 부교재-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이준우, 손덕순, 서현사, 2016. Jarymowicz, Maris and Danial Bar-Tal. 2006. "The Dominance of Fear over Hope in the Life of Individuals and Collectives"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6: 367-392. Iurato, Guiseppe. 2015. "A Brief Comparison of the Unconscious as Seen by Jung and Levi-strauss." Anthropology of Consciousness 26(1): 60-107. | |||||
5. 기타 (과제, 발표) (1) 정신보건 사회복지실천현장을 방문하여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 인터뷰하고 보고서를 작성한다.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미리 질문을 10개 이상 준비하여 인터뷰한다. 보고서에 질문과 대답을 모두 적고 자신이 생각한 점과 느낀 점 등을 작성한다. 마감- 13주째 - 20점 -해당 정신보건기관의 역할과 특성 -해당 기관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정신보건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한 준비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의 어려움과 보람 -다루기 힘들 클라이언트에 대한 개입 -해당 사회복지사가 주로 많이 사용하는 개입방법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의 진로 |
주별강의계획
주차 | 강의요점 | 강의 날짜 | 읽어올 내용, 준비물, 과제 |
1 | 교과목개요 및 교재소개, 수업 방법과 과제 설명, 제 1장, 정신건강사회복지의 개요 |
| 교재, 강의계획서 |
2 | 제 2장,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의 이해 |
| 교재, DSM-V 암기 |
3 | 제 3장 법과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전달체계 5주차 |
| |
4 | 지정된 논문을 읽고 발표하기: 뉴만의 심리발달단계Iurato, Guiseppe. 2015. "A Brief Comparison of the Unconscious as Seen by Jung and Levi-strauss." Anthropology of Consciousness 26(1): 60-107. 제 3장 법과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전달체계 5주차 | 10/2 | DSM -5 퀴즈, 딥스 독후감제출 |
5 | 두려움과 희망에 대한 지정된 논문을 읽고 발표하기Jarymowicz, Maris and Danial Bar-Tal. 2006. "The Dominance of Fear over Hope in the Life of Individuals and Collectives"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6: 367-392.-발표 2 강선영, 김창대 6주차 | 10/5 |
|
6 | 제 10장 자살과 정신보건 - 발표 7 이유민 배정원 | 10/5 |
|
7 | 중간고사 | 10/16 |
|
8 | 제 6장 개인대상의 실천방법 - 발표 3 서예은 김창민 | 10/23 | DSM-5 퀴즈 |
9 | 제 7장 집단대상의 실천방법 -발표 4 김현, 정예은 |
|
|
10 | 제 8장 가족대상의 실천방법 -발표 5 모상규, 유혜리 |
|
|
11 | 제 9장 지역사회정신건강과 실천방법 -발표 6 정현지, 하주희 |
|
|
12 | 제 4장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실천분야 발표 1 박민오, 유은지 | 수정됨 |
|
13 | 제 11장 중독과 정신보건 - 발표 8 정라현
|
| 리포터 제출-정신보건사회복지사 인터뷰 보고서 |
14 | 제 14장 재난과 정신보건 -발표 9 전주원, 정혜영
|
|
|
15 | 기말고사 |
|
|
'정신건강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만의 인간발달 파워포인트 자료 (0) | 2018.09.11 |
---|---|
1주 강의 파워포인트 자료 (0) | 2018.08.28 |
가족 대상의 실천방법- 구조적 기법: 교류기법 (0) | 2016.11.17 |
50단어 정리- Newmann's psychic process (0) | 2016.11.03 |
중요단어 정리 50 - fear over hope (0) | 2016.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