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목명 | (한글) 의료사회복지론 (영문) Medical Social Work | 담당교수 | 하정미 | ||
수강대상 |
| 면담시간 |
| ||
연락처 | |||||
1. 강의목표 사회사업가로서 병원에서 실제로 클라이언트의 의료적 문제와 이에 수반되는 문제를 이해하고 원조하는 기술을 공부하고 조별 실습과 토론을 통해서 실제 원조기술을 익힌다. | |||||
2. 수업진행방법 강의와 토론 그리고 역할극 그리고 발표로 이루어진다. | |||||
3. 학습평가방법 출석 10%, 중간고사 20%, 기말고사 30%, 과제물 20%, 발표 20% 중간고사: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에 대한 주관식 질문 6개 중 4개를 선택하여 서술한다. 기말고사: 제시된 의료 사회사업 관련 주제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논술한다. (open book test: 서적, 인터넷자료 논문검색 등을 통하여 자유롭게 자료를 참고하여 논문 작성방법에 따라 자신의 견해를 논술한다.) | |||||
4. 교재 및 참고도서 교재 - 의료사회복지의 이해와 실제, 김연수, 김경희, 박지영, 최명민, 나눔의 집, 2017. 부교재-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사례관리: 사례중심실천(Case-Based Practice) 접근, 이효선, 남화수 공저, 학지사,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하정미, 이윤수, 공동체, 2017. Roth Anne Van Loon, 1999, 하정미 역, 2006, “말기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죽고자하는 소망: 사정과 개입을 위한 기본 틀”, “Desire to Die in Terminally Ill People: A framework for Assessment and Intervention)”, Health & Social Work 24(4). Bonime, W., 1982, "Psychotherapy of the Depressed Patient1", Contemporary Psychoanalysis 18: 173-189. | |||||
5. 기타 (과제, 발표) (1) 주교재의 부록 3에 제시된 의료사회복지 관련 추천서적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읽고 독후감을 다음 사항을 충족시키는 내용으로 하여 제출한다. 마감- 5주째- 10점 * 책의 내용에 대한 요약은 4줄 이하로 하며 총 분량은 6페이지 이상(글자는 12 point)으로 한다. * 의료사회복지 및 사회복지실천 개념이나 이론을 적용하며 자신의 생각을 서술한다. * 주인공 및 그 가족을 클라이언트로 보고 사정하여 서술한다. * 한국사회복지학회 기준으로 참고문헌과 본문 내 인용법을 지킨다. (2) 의료사회복지실천현장을 방문하여 의료사회복지사를 인터뷰하고 보고서를 작성한다.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미리 질문을 10개 이상 준비하여 인터뷰한다. 보고서에 질문과 대답을 모두 적고 자신이 생각한 점과 느낀 점 등을 작성한다. 마감- 7주째 - 10점(창원 경상대학교 의료사회복지과 견학예정, 4월 11월 10시 예정) -해당 병원의 역할과 특성 -해당 기관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의료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한 준비 -의료사회복지사의 어려움과 보람 -다루기 힘들 클라이언트에 대한 개입 -해당 사회복지사가 주로 많이 사용하는 개입방법 -의료사회복지사의 진로 |
주별진도계획
주차 | 강의요점 | 교과서 및 참고서 page | 읽어올 내용, 준비물, 과제 |
1 | 교과목개요 및 교재소개, 수업 방법과 과제 설명, 제 1장, 의료사회복지의 개요 |
| 교재, 강의계획서 https://www.youtube.com/watch?v=hkH1sYkl7Jc “의료사회복지사의 하루”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
2 | 제 2장, 의료사회복지의 대상 |
| 교재,
|
3 | 제 3장 의료사회복지의 발달과정 |
|
|
4 | 제 4장 의료사회복지의 실천모델 1. 생태체계모델 2. 심리사회모델 3. 인지행동모델 |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하정미, 이윤수, 2017. 공동체. |
5 | 제 4장 의료사회복지의 실천모델 4. 레질리언스모델 5. 임파워먼트모델 |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하정미, 이윤수, 2017. 공동체. |
6 | 제 5장 의료사회복지실천 가치와 윤리 |
| 창원경상대학교병원 의료사회복지실 견학예정 |
7 | 중간고사 |
|
|
8 | 제 6장 의료사회복지 제도와 체계(발표 1) |
|
|
9 | 제 7장 의료현장에서 사회복지행정업무(발표 2) |
| https://www.youtube.com/watch?v=K5tWk4brXYw “의료사회복지사는 무엇을 하는가?” |
10 | 제 8장 의료사회복지 임상업무(발표 3) |
|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사례관리: 사례중심실천(Case-Based Practice) 접근, 이효선, 남화수 공저, 학지사, 2017. |
11 | 제 9장 의료사회복지실천과정(발표 4) |
|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사례관리: 사례중심실천(Case-Based Practice) 접근, 이효선, 남화수 공저, 학지사, 2017. |
12 | 제 10장 분야별 의료사회복지실천 1 (발표 5) Bonime, W., 1982, "Psychotherapy of the Depressed Patient1", Contemporary Psychoanalysis 18: 173-189. |
|
|
13 | 제 11장 분야별 의료사회복지실천 2 (발표 6) 교수 블로그 참조: Roth Anne Van Loon, 1999, 하정미 역, “말기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죽고자하는 소망: 사정과 개입을 위한 기본 틀(Desire to Die in Terminally Ill People: A framework for Assessment and Intervention)”, Health & Social Work 24(4). |
| 리포터 제출 |
14 | 제 12장 의료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 (발표 7)
|
|
|
15 | 기말고사 |
|
|
'의료사회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별 강의계획- 날짜, 발표 정리자료 (0) | 2019.03.22 |
---|---|
3주차 수업자료- 의료사회복지의 발달 (0) | 2019.03.20 |
2주차 수업자료- 1장, 2장 의료사회복지의 개요 및 대상 (0) | 2019.03.13 |
고 장기려 박사 -의사/사상가/청십자의료보험조합의 설립을 통한 청십자 운동 (0) | 2019.01.11 |
말기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죽고자하는 소망 (0) | 2019.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