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미- 헤이븐정신건강상담소&연구소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샌디에고주립대학교 사회사업석사

우는 자들과 함께 울라(로마서12:15)

정신건강사회복지

사례연구-좌절된 자기대상 욕구- 무단복제 금지

하정미 2019. 5. 10. 20:21

좌절된 자기대상 욕구

Eda G. Goldstein, 2001, 하정미 역, 2019, Object Relations Theory and Self Psychology in Social Work Practice, New York, NY: The Free Press.


다음의 예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자기대상욕구가 직장에서 어떻게 좌절되었으며 이것이 스트레스를 증가시켰고 이러한 욕구가 치료 상황에서 어떻게 드러나는 지가 나타난다.

 

Morris씨 사례

42세인 Morris씨는 그의 두통과 고혈압을 염려하였으며 그가 광고회사에서 일하는 예술 감독으로 자신의 직무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을 알게 된 그의 의사의 권유로 도움을 받기 위해서 찾아왔다. Morris씨는 최근 15명으로 구성된 복잡한 부서를 관리하도록 고용되었다. 그 자리에 원래 근무하던 내부직원들 중 한 사람이 지원했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그 지원자는 그 부서에 그대로 남게 되었다. 그는 Morris씨에 대한 원한을 품었고 그와 비협조적이었다. Morris씨에게 보다 수용적인 다른 직원들은 동료애로 인한 갈등에 빠졌고 그와의 관계에 소극적인 방식을 취했다. 과거 Morris씨는 항상 자신을 좋아해주는 매우 지지적이며 매우 능력 있는 사람으로 인정해주는 근무환경에서 일해 왔다. 그러나 새 직장에서 그는 점점 더 많아지는 업무로 인한 시간부족으로 인해 압박감을 느꼈고 업무는 자신이 직접 통제할 수 있는 한계를 넘는 것 같았고 그는 리더로써의 열정이 부족한 것 같아 보였다. 그는 오랜 시간 일했고 우울하고 짜증스러운 감정에 빠졌다. 그는 자신의 직속상관이 자신의 업무수행에 대해서 비난할 것을 염려했으며 마음속에 부하직원들에 대한 상당히 많은 분노를 품고 있었다. Morris씨의 또 하나의 스트레스 요인은 Morris씨 부부가 고급 전원주택을 구입했는데 자신이 직업도 집도 그리고 아내로 잃게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그는 다른 자리를 알아볼까 생각했었지만 그렇게 빨리 직장을 옳기는 것이 좋지 않아 보일 거라고 생각했다.

Morris씨는 자신이 부모님으로부터는 별로 지지를 받지 못했지만 직장에서는 항상 자신의 지적인 능력과 재능에 대해서 확신을 가졌고 인정을 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5남매 중 막내인 그는 형제들로부터 나이차이가 많아 매우 고립되어 성장했다. 그가 태어났을 때 그의 어머니는 44세였고 아버지는 53세였으며 두 부모 모두 그를 양육하기에는 에너지와 동기가 부족했었던 것으로 보였다. 그의 부모는 경제적으로 별 문제가 없었지만 그의 아버지가 재산을 모두 탕진해버리자 병에 걸렸고 결국 Morris씨가 청소년기였을 때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그는 부모와 친밀하지는 않았지만 그이 아버지를 존경했다.

Morris씨는 뛰어난 학생이었지만 항상 낙제를 두려워했다. 그는 학업에 매진했고 매우 높은 기준을 갖고 있었다. 그는 고등학교와 대학에 다니던 시절에는 시험 정에는 병이 나곤 했으며 완전히 지치도록 계속 공부만 했었다. 우수한 성적을 받지 못하면 그는 우울감과 자기책망과 낮은 자존감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곤 했다. 성인기가 되어 그는 어머니와 형제들과 어느 정도 거리와 긴장관계를 유지했다. Morris씨는 37세에 결혼했고 그는 최근에 그가 미래에 대해 더 아내를 불안하게 하고 있지만 아내가 이전보다 더 잘 그가 휴식할 수 있게 도와준다고 표현했다.

    첫 번째 회기 중에 Morris씨는 자신이 직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에 대해서 수치심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였으며 사회복지사가 자신을 판단하며 실패자라고 생각할 것에 대한 두려움을 표현하였다. 그는 매우 지지적인 업무 환경을 떠나 스트레스가 심한 곳에서 일하게 된 것이 그에게 얼마나 힘들지에 대해서 사회복지사가 공감해주었을 때 눈에 띄게 안심했다. 사회복지사가 Morris씨가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었다는 것을 인정해주었을 때 그는 훨씬 마음이 안정되고 외로움을 덜 느끼는 듯 했다. 그는 사회복지사를 직장에서 자신의 경험을 나눌 수 있고 직원들을 다루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그의 노력을 반영해주는 대상이 될 수 있는 사람으로 여기기 시작했다.                

 

<논의>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Morris씨의 사회복지사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들에 대한 경험과 과거력을 조사하면서 사회복지사는 과거에 Morris씨가 자신의 환경을 통제할 수 있게 되고 완벽주의를 유지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타인으로부터 인정을 받고 경제적으로 성공함으로써 자존감을 유지해왔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깊은 마음속의 부적절감과 불안정감으로 고통 받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사회복지사는 Morris씨의 새로운 직업과 승진이 그의 자기대상 환경에서 급작스러운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것이 자존감 규제와 심한 불안 그리고 자기 응집성의 상실이라는 문제를 초래했고 그의 자기에 대한 감각에 주된 약점이 반영되는 결과를 만들어 냈다고 생각했다. 결과적으로 사회복지사는 전원주택으로 인한 증가된 재정적 부담과 함께 그의 새 직장에서의 더 큰 책임감과 특별한 문제들이 그가 실패하고 자신의 아버지와 같이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일으키게 되었다고 생각했다.

Morris씨의 자기대상 욕구는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즉각적으로 드러났다. 사회복지사의 이러한 욕구에 대한 인식과 공감적 이해와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전달하는 능력은 클라이언트가 치료에 참여하고 자신의 문제를 더 잘 다룰 수 있도록 도왔다. 사회복지사는 이러한 욕구에 대한 “최선의 반응”이 단기적으로는 클라이언트의 기분이 나아지도록 하고 장기적으로는 클라이언트의 자기를 강화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