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클라이언트의 발달적 고착과 가족역동(무단복재금지)
하정미 역
Slipp, Samuel. 1993. Object Relations: a Dynamic Bridge Between Individual and Family Treatment. Northvale, New Jersey: Jason Aronson Inc. p. 128-129.
정신내적 수준에서 클라이언트의 고착점은 분리-개별화 발달단계의 해결에 놓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고착의 원인이 단순히 유아기의 사랑하는 대상의 상실만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부모는 유아기뿐 아니라 뒤 이은 발달 단계에서도 자신들의 욕구로 인하여 클라이언트를 개별적인 인간으로 생각하지 못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는 부모가 자신들의 자존감을 위해 아동에게 거부하겠다는 위협을 가하고 착취하면서 성취에 대한 모순적 메시지(이중구속메시지)를 제공하므로 아동기를 거치며 지속적으로 고립되고 고독하며 버림받을 지도 모른다는 위협을 느낀다. 이러한 가족 상호작용은 또한 오이디푸스적 갈등의 해결과 이성의 부모와의 동일시를 더 힘든 과정으로 만들며 방해하게 된다. 아버지가 실패 메시지를 제공할 때 아들은 자기 자신을 취약하고 약한 존재로 여기게 된다. 따라서 남성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독립을 위해 경쟁하고 승리하고 확신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이러한 아들은 정체감 형성을 위한 적절한 모델로써 강한 아버지를 필요로 한다. 아버지의 영향을 교묘하게 약화시키기 위한 실패의 메시지를 던지는 피학적인 어머니의 경우 이러한 어머니와 아들의 동맹은 보다 위협적인 아버지의 거세위협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어머니와의 동맹 패턴은 동성애적 갈등을 겪는 몇 몇 우울한 남성들에게서 나타난다. 공생적 의존을 유지하는 적대적 적응은 약간의 자율성을 갖게 하며 부모의 반응을 통제할 뿐 아니라 부모에게 들키지 않고 부모의 외적 통제를 유지하면서 간접적으로 분노를 배출한다.
Smith(1971)에 의하면 이러한 클라이언트의 부모는 강압적이므로 그들과 동일시하는 것은 그것이 방어적인 기능을 하게 되므로 보다 전체적이며 포기하기 어려운 것이다. 우리는 내면화 유형에 대하여 보다 더 자세히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부모는 분리와 개별화를 허용하지 않으며 그들 자신들이 주요한 방어방식으로 분리와 투사적동일시를 사용하므로 클라이언트가 그들과의 동일시는 미분화된 채 유지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는 순종하지 않으면 거부당한다는 위협을 통해 지배적인 부모의 자기의 한 측면인 성취적인 좋은 자기와 동일시 되도록 강한 압력을 받는다. 우리가 논의한 바와 같이 이러한 과정은 좋거나 나쁜 분리된 어머니 투입이 클라이언트에게로 투사되는 조현병과 경계선 장애의 경우보다는 덜 미분화적이다. 부모의 자기의 한 측면에 대한 투사는 보다 제한적이며 클라이언트가 대상으로부터 자기의 분화를 이루기 위한 보다 많은 범위의 자유가 허락된다. 이러한 강압적인 특성이 없었다면 이러한 형태의 투사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자발적으로 시도되는 자연스러운 과정이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클라이언트의 내면화된 자기와 대상 이미지는 보다 전체적이며 분리적인 것에 가까우며 조현병이나 다른 자기애적 장애와 같이 융합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클라이언트의 자기는 여전히 지배적인 부모와 연결되어 있으며 온전히 분리되고 영속적인 것이 아니다. 발달된 자기는 거짓된 것으로 복종적 자기이며 부모와 연결된 채 유지되며 자신의 영속성은 클라이언트의 성공여부에 의존된다. 구조적으로 분리는 클라이언트 내에서 지속되며 좋고 나쁜 어머니 투입은 외부 대상과 통합되지도 않으며 분화되지도 못한다.
'정신건강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주 모임(AA)의 12단계(하정미 역) (0) | 2018.11.10 |
---|---|
조적 방어(Manic Defense)에 대해서(번역) (0) | 2018.10.19 |
일탈과 우울적 가족양상을 동반하는 조현병에서의 유도된 역전이 (무단 복제금지) (0) | 2018.10.09 |
Slipp의 대상관계이론에서 부모의 내적체계에서의 자기와 대상의 이미지 분리와 아동이 수행하는 가족역할(무단복재금지) (0) | 2018.10.08 |
발표자료 -희망보다 앞서는 두려움- 김창대 강선영조 (0) | 2018.10.04 |